서 효 규 Seo Hyo Kyu
「 ADAPTABLE 」
시간과 환경에 적응하며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공간
NOTE.
세대 변화의 흐름을 빠르고 명확하게 느낄 수 있는 지금의 경기 광주는 산업화에 따라 외국인들은 광주 외곽에 밀집하게 되었고 이들은 집단화가 되면서 노년층, 젊은 층과 더불어 새로운 집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화되어 있다. 누군가 먼저 손 내밀지 않는 이상 교류 없는 생활은 앞으로 계속될 것이고, 집단의 소외는 점점 커질 것이다. 더불어 교류 없는 이들의 관계는 깊은 고립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며 있는 그 자리에서 각 주체가 소외, 고립되지 않고 소통할 수 있도록, 모듈러 건축을 통해 이곳에 1인 가구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한다.
| 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거주 공간 |
사용자 특성에 맞춰진 단지들은 거주자들의 공통된 삶의 방식으로 유대감을 느끼며 교류의 장이 형성되고 정보와 감정의 교류를 통해 사회 적응 단계를 거쳐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힘이 생기길 기대한다.
| 다원화된 공간 |
단지의 폐쇄성을 개선하고 거주자들이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분화하고 그곳에 다채로운 풍경의 공간들을 계획했다.
| 관계가 만들어지는 길 |
교차배치/공유복도/수직오픈/입체가로로 만들어지는 생활가로를 통해 길 위에서 이웃의 다양한 삶과 공통의 관심사를 만나게 되며 소통할 수 있는 생활가로를 계획했다.
심 영 은 Sim Young Eun
「 Agritainment 」
전라북도 군산시 경포천이라는 하천인근에 위치한 선형의 대지는 군산에서 새롭게 생겨나는
그린 네트워크(Green network)에 합류되며 군산시민들에게는 도시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외지인들에게는 도시농업의 과부터 현재 미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준다.
NOTE.
과거 이촌향도라 불리던 시대에서 귀농귀촌이 유행이 될 정도로 현대사회에서 도시 속 자연, 생산적인 활동인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작물을 기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인과의 자연스러운 커뮤니티는 도시농업의 아날로그(Analogue)적인 특징이며 현재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도시농업의 모습이다. 그러나 도시농업은 산업적 기능만을 위한 농업이 아닌 교육, 레크레이션, 커뮤니티 등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문화로써의 변화 가능성을 보이고 있기에 점차 주거지와 결합해가고 있는 현재(Hub), 계절에 국한되지 않는 작물을 연구하고 기르는 스마트 팜(Smart farm)이 등장한 미래(digital)의 모습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은 생산과 문화적 공간으로 도시농업을 한층 성장시킬 수 있을거라 생각 되어지며 이를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선형의 대지에 설계하고자 한다.
이 소 현 Lee So Hyun
「 Magnanimity 」
양천구에 위치한 특수학교로 정서 장애 학생의 내면화 장애와 심리적인 안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친근감을 줄 수 있는 주택 이미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친근감을 주고 화장실과 테라스라는 개별적인 공간과
곡선의 동선으로 안정감과 연계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아트리움 램프 유리 천장 등 건축 요소를 사용해 자연 속에서 학교의 환경 교육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