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mee_h
김 경 미 Kim Kyoung Mee
「 Learn Skill, Learn Life 」
젊은계층에게 삶과 밀접한 방식으로 진로와 취미를 만들어 주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존재했던 장인과 견습생이 함께 살아가며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도제제도’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시설을 제안하고자한다.

















@jk.kkkong
김 진 경 Kim Jin Kyung
「 또 바 기 치 유 소 」
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보건소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의 여파로 보건소의 역할이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병원이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을 가진다면,
보건소의 주요한 목표는공중보건과 질병의 예방, 관리이다.
보건소는 지금처럼 계속 유지되어야할까?
보건소의 미래는 어때야 할까?
















NOTE.
또바기 치유소는 모든 사람이 집 가까이에서 공원처럼 치유의 공간을 찾을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설계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다.
1. 구미동 하수종말처리장의 인프라스트럭처를 최대한 살려 리모델링한다.
2. 미래의 보건소는 지금처럼 특정 연령층만 이용하는 곳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자신의 생애주기에 맞게 이용하며, 집 앞의 공원을 가는 것처럼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공간이여야한다.
3. 보건소는 감염병 예방과 검사의 최전선인 만큼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공간이여야하며, 이 공간들은 가변적이여서 평소에는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해야한다.
4. 내부와 외부가 계속 교차하면서 자연 채광과 환기가 가능한 공간이여야한다.
또바기 치유소는 이 질문들에 대한 나의 대답이다. 지금은 모두가 격리의 공간에 있지만, 머지않아 모두가 치유의 공간에서 만나기를 희망한다.

류 진 영 Ryu Jin Young
「 P-island 」
조선소를 베이스로 하여 거제시를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제껏 무분별하게 버려온 해양 폐기물을 수거하여,
지구의 자정 작용을 도울 수 있는 형태로 재사용한다.
수거 후 재생산되는 과정에서는 바다를 살리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형태로의 정화된 생산을 한다.
도시는 다시 활력을 가지게 되고,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도시가 된다.
























NOTE.
해양도시에 인간들이 배출한 해양쓰레기들과 산업 시대 유산인 중공업 시설들을 활용해서 거제도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쳐처럼 발전을 위한 기능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위락시설이 되기도 하고 주거가 될 수도 있는 다양성을 포함한다. 쓰레기가 에너지원이 되고 중공업시설들은 발전소가 되는 큰 지향점을 가지고,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이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며 이질적인 타입들과도 결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적 방안을 제시한다. 도시의 실업자들은 기존의 기술을 활용해서 재취업하고 새롭게 제안한 건축물은 도시의 활기를 만드는 거점이 되는 시설로 탈바꿈한다.

@dongmin009
마 동 민 Ma Dong Min
「 Nomadic city 」
코로나로 인해, 생존의 위기에 직면한 인류, 도시에 스스로 질문을 던졌다.
21세기 인류 대부분이 살아가는 도시는 과연 안전할까?
빠르게 변화는 환경에 맞춰, 유기체적 도시도 인간도 그에 맞게 변화하고 대응하며, 진화하고 있는 것일까?
이번 프로젝트는 미래 인류의 새로운 모습과 그에 맞춰 진화한 도시의 모습을 예측하고 구축화 시키는 작업이다.

















